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활 쏘는 부속품들과 활을 쏠 때 쓰는 용어, 신체에 관한 용어들

by 활쏘는 유비 노마드족 2022. 3. 11.

 이번에는 활을 쏘는데 필요한 부속품의 관한 용어에 대해 알아보고, 활을 쏠 때 사용하는 용어와 활을 쏘는 신체에 관한 용어를 대한궁도협회 홈페이지 기준으로 살펴보겠습니다.

 

3. 부속품에 관한 용어

지금부터 활을 내는데 필요한 부속품과 기구들의 명칭을 알아보겠습니다.

 

각지(角指) ▶ 깍지라고도 하며 주로 쇠뿔로 만든다. 각지손 엄지손가락에 끼며 시위를 당길 때 사용한다.

고전기(告傳旗) ▶ 화살의 적중여부를 알려주는 깃발

두루주머니 ▶ 과거에 궁시와 부속품을 넣어두는 주머니로써 전통에 매달아 두었음

메뚜기 팔찌 ▶ 활 쏠때 넓은 옷 소매를 잡아매는 메뚜기 장식의 팔찌

밀피 ▶ 시위에 바르는 밀을 씻는 가죽이나 포속

보궁(保弓) ▶ 얹은 활이 틀어지거나 뒤집혀지지 않도록 끼워두는 실가락지

사정기(射亭旗) ▶ 사정을 대표하는 기(旗)

산주(算珠) ▶ 활을 쏠 때 순(巡)을 계산하는 구슬

살방석 ▶ 화살을 닦는 제구

살수건 ▶ 화살을 닦는 수건

살수세미 ▶ 활촉을 문질러 닦는데 쓰는 대수세미

살날이 ▶ 무겁에서 주운 화살을 사대까지 보내는 기구

삼지끈 ▶ 보궁(保弓)과 같으며 삼지에 끼는 실가락지라는 데서 삼지끈이라고 부름

 

숫깍지, 집게손가락 보호대, 보궁(保弓)  

 

 

암각지 ▶ 평각지와 같으나 앞부분이 시위가 걸리도록 약간 파여있음

운시대 ▶ 살날이와 같음

유열각지 ▶ 각지손가락으로 당기도록 길게 튀어나온 부분이 있으며 숫각지라고도 함

은각각지 ▶ 각지의 뿔 안쪽에 흰색의 둥근 테가 있는 것

장족(獐足) ▶ 과거 나무과녁에 고무판을 입히지 않았을 때 과녁에서 살을 뽑는 노루발 같이 생긴 기구

장족마치 ▶ 화살 뽑을 때 장족을 두드리는 망치

전통(箭筒) ▶ 화살을 담는 통으로서 죽전통(竹箭筒)이나 지전통(紙箭筒) 오동나무 전통 등이 많이 사용된다.

전통조승 ▶ 전통을 달아서 허리에 차는 쇠나 뿔로 만든 것

전통주머니 ▶ 두루주머니와 같음

점화통 ▶ 알맞는 온도를 유지토록 하여 활을 보관하는 통

촉도리 ▶ 살촉을 뽑거나 박는 기구

팔찌 ▶ 한복 등 넓은 소매의 옷을 입을 때 활 쥐는 팔소매를 잡아매는 기구

평각지 ▶ 일반적으로 활을 쏠 때 쓰는 각지를 말함

획정(獲旌) ▶ 화살이 과녁에 맞은 것을 알리는 기(旗). 고전기(告傳旗)와 같음

 

4. 활을 쏠 때 사용하는 용어

지금부터 활을 쏠 때 사용하는 용어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현(空弦) ▶ 화살이 시위에서 벗어나 땅에 떨어진 줄도 모르고 활을 쏘는 것

더가는 것 ▶ 살이 과녁을 지나가는 것. 「크다」라는 말로도 표현함

덜가는 것 ▶ 살이 과녁에 미치지 못하는 것. 「작다」라는 말로도 표현함

낙전(落箭) ▶ 활을 쏘는 도중 화살이 시위에서 떨어지는 것

몰촉 ▶ 활을 당길 때에 화살촉이 줌을 지나 들어오는 것. 월촉이라고도 함

반구비 ▶ 화살의 살고가 알맞아 적중할 수 있게 가는 것을 말함

살고 ▶ 화살이 뜨는 높이

양(楊) ▶ 화살이 과녁의 위를 맞힌 것을 이르는 말

왼구비 ▶ 화살이 높이 가는 것을 말함

유(留) ▶ 화살이 과녁의 아래를 맞힌 것을 이르는 말

줌앞 ▶ 화살이 줌손의 앞 방향으로 가는 것

줌뒤 ▶ 화살이 줌손의 뒷 방향으로 가는 것

충빠지는 것 ▶ 화살이 떨며 가는 것을 말함

평찌 ▶ 화살이 평평하고 낮게 가는 것을 말함

한배 ▶ 화살이 제턱에 가는 것 즉 좌우 편차와는 관계없이 과녁이 있는 곳까지 가는 것을 말함

한살 ▶ 한배와 같음

획(獲) ▶ 화살이 과녁의 복판을 바로 맞힌 것을 이르는 말

 

5. 신체에 관한 용어

마지막으로 활을 쏘는 신체에 관한 용어를 살펴보겠습니다.

 

가슴통 ▶ 가슴

각지손 ▶ 각지 끼는 손

각지손 구미 ▶ 각지 낀 손의 팔꿈치

각지손 회목 ▶ 각지 낀 손의 손목

곁동 ▶ 겨드랑이

궁체(弓體) ▶ 1) 활 쏘는 자세. 체집이라고도 말함  2) 활의 생긴 모습

덜미 ▶ 목 뒤

등힘 ▶ 줌손의 어깨와 팔 전체로 고루 미는 힘

멍에팔 ▶ 줌을 쥔 팔이 멍에 모양으로 되는 것

바닥끝 ▶ 손바닥의 가운데 금이 끝난 부분

반바닥 ▶ 엄지손가락이 박힌 뿌리 부분

범아귀 ▶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의 사이를 말함

북전 ▶ 줌 잡는 손의 검지손가락 첫째마디와 둘째마디 사이를 말함

불거름 ▶ 방광의 바로 윗 부위를 말함

삼지 ▶ 줌손의 아래 세손가락을 말하며 하삼지(下三指)라고도 함

엄지가락 ▶ 줌잡는 손의 엄지손가락

웃아귀 ▶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의 뿌리가 서로 닿는 부위

웃동 ▶ 웃동아리라고도 하며 어깨사이를 말함

줌손 ▶ 활을 잡은 손

죽머리 ▶ 활잡은 어깨부위

중구미 ▶ 팔꿈치

 

 이상으로 활을 쏘는데 필요한 각지,보궁(保弓) 등의 부속품에 대한 용어에 대해 알아보았고, 활을 쏠 때 사용하는 몰촉, 낙전 등의 용어와 활을 쏘는 신체에 관한 반바닥, 범아귀 등의 용어를 살펴보았습니다.

 

다음에는 활을 쏘는 사원(射員)에 대한 용어와 사정(射亭)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