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삼지2 조궁(操弓)의 순서/ 거궁(擧弓)에서 이시(離矢)후 까지 대한궁도협회에서 발간된 한국의 궁도 및 조병택의 저서 한국의 궁도]에서 세 번째 시간으로 신사입문지례에 이어 기술되어 있는 조궁순서(操弓順序)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 사법 습득의 중요성은 매우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모든 운동은 기본자세를 완벽히 숙달하고 단련해야 좋은 기량을 발휘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좋은 궁체를 갖도록 해야 합니다. 특히 궁도는 다른 운동 종목과는 달리 연습과 경기시 항상 같은 동작(반복 운동)으로 활을 쏘아야 합니다. 동작이 항상 일정하지 않으면 관중률이 저하되니 하루에 한 시간만이라도 매일 나만의 루틴(routine)을 찾아 만들어 나가도록 습사(習射)에 힘을 기울여야겠습니다. 나. 조궁(操弓)의 순서 (거궁(擧弓)에서 이시(離矢)후 까지) 1.. 2022. 3. 2. 활 쏘기의 표준 자세 대한궁도협회 표준 弓道敎範 [대한궁도협회에서 발간된 한국의 궁도 및 조병택의 저서 한국의 궁도]에서 먼저 활 쏘기의 표준자세에 대해 살펴봅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자세가 상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한 번 읽어 보시고 본인의 자세와는 어떻게 다른지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시기 바랍니다. 경주 오봉산 주사암 마당바위에서 2021.02.09 1. 표준 자세 가. 몸(身體) 몸은 곧은 자세로 서서 과녁과 정면으로 향하여야 하며 속담에 이르기를 "과녁이 이마 바로 선다" 함이 이를 두고 한 말이다. 나. 발(足) 발은 丁字 모양도 아니고 八字 모양도 아닌 체형으로 벌려 서되 과녁의 좌우 아래 끝에 바로 행하게 서고 두 발 끝이 숙여지지 않도록 할 것이며 전체의 중량을 앞발과 뒷발에 실리게 하여 땅을 크게 밟고 서야.. 2022. 2. 25. 이전 1 다음